코인 실현 손익과 미실현 손익 차이|헷갈리는 개념 완전 정리

코인 실현 손익과 미실현 손익, 비슷해 보이지만 엄연히 다른 개념입니다.

특히 수익을 정확히 판단하기 위해서는 이 둘의 차이를 명확히 이해해야 해요. 이번 글에서는 현물거래와 선물거래 예시를 중심으로, 실현 손익과 미실현 손익의 정의부터 정확한 차이를 알려드릴게요.

실현 손익과 미실현 손익 차이를 설명하는 비트코인 관련 이미지
코인 실현 손익은 확정 수익, 미실현 손익은 평가 중인 수익

실현 손익은 Realized PnL, 미실현 손익은 Unrealized PnL로 표시됩니다.


설명에 앞서 아래 링크들은 바이비트, 비트겟, OKX의 공식 최대 수수료 할인 및 페이백 레퍼럴 링크입니다.
각 거래소에서 가입만 해도 자동으로 적용되며, 별도 절차 없이 평생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바이비트: 수수료 20% 할인, 이벤트 시 최대 50% 추가 할인 (예: 5주년 이벤트 등), 최대 3만 USDT 증정금 제공

비트겟: 수수료 50% 할인 + 20% 페이백 추가 적용

OKX: 거래 수수료 커미션 수익의 40% 페이백, 추가 6만 상금 풀

거래소혜택 가입 링크
바이비트최대 혜택 가입
비트겟최대 혜택 가입
OKX최대 혜택 가입

모든 혜택은 거래소 공식 파트너 레퍼럴로 제공되며, 따로 신청할 필요 없이 가입만 하면 자동 적용됩니다. 페이백은 거래소 본인 지갑으로 직접 지급되는 자동 페이백입니다. 위 링크를 통해 가입하시고, 거래할 때마다 수수료 부담을 크게 줄여보세요.

코인 실현 손익이란? | Realized P&L

코인 실현 손익은 거래를 완료했을 때 확정된 수익이나 손실
코인 실현 손익 Realized P&L

영어로는 Realized Profit and Loss 또는 Realized P&L입니다. 실현 손익은 말 그대로 거래를 완료했을 때 확정된 수익이나 손실을 말합니다. 코인을 실제로 매도하거나 포지션을 정리했을 때 발생하죠.

예시 (현물거래):

비트코인을 1,000만 원에 매수하고 1,100만 원에 매도하면 차익 100만 원 발생됩니다.

이 100만 원이 실현 손익입니다.

예시 (선물거래):

USDT 선물 거래에서 진입가 30,000에 롱 포지션을 잡고 청산가 32,000에서 포지션을 종료했다면, 레버리지를 포함한 수익이 그때 확정되며 해당 이익은 그 순간에 실현 손익으로 전환됩니다.

코인 실현 손익에 펀비 거래 수수료 포함 (★)

코인 거래에서 실현 손익은 단순한 매매 차익뿐 아니라 펀딩비, 진입·청산 수수료, 슬리피지 등 실제 지출된 비용을 모두 반영한 최종 수익입니다.

예시로 간단 요약

예시 (현물거래):

매수: 1 BTC = 30,000 USDT

매도: 1 BTC = 32,000 USDT

수수료: 매수 0.1%, 매도 0.1%

실현 손익 = (32,000 – 30,000) – 수수료 = 약 1,940 USDT

예시 (선물거래): 롱 포지션, 10배 레버리지

진입가: 30,000 USDT / 청산가: 31,000 USDT

계약 수량: 1 BTC

수수료: 진입·청산 각각 0.05%

펀딩비: -0.01% (지불)

실현 손익 = (1,000 USDT 차익) – 수수료 – 펀딩비 = 대략 980 USDT

# 수익, 손실뿐만 아니라 수수료, 펀딩비등이 적용되는 것이 실현손익 변동 이유입니다.

코인 미실현 손익이란? | Unrealized P&L

코인 미실현 손익이란? 비트코인을 들고 있는 남성이 상승·하락 화살표와 금화 아이콘 옆에 서 있으며, 하단에는 "보유 중인 코인의 매매를 가정했을 때 예상되는 손익"이라는 설명이 적혀 있다.
코인 미실현 손익 Unrealized P&L

영어로 Unrealized Profit and Loss 또는 Unrealized P&L입니다. 미실현 손익은 아직 매도나 청산하지 않은 상태에서 내 자산의 가치가 현재 시세 기준으로 평가된 잠정 손익입니다. 즉, 진짜 수익은 아님. 시세가 다시 변하면 이익이 사라질 수도 있어요.

예시 (현물거래):

이더리움을 200만 원에 매수하고 현재 시세 220만 원입니다. 아직 팔지 않았다면 +20만 원은 미실현 손익입니다.

예시 (선물거래):

숏 포지션에서 가격이 내려가서 +30% 수익 중, 아직 청산하지 않았으면, 그건 미실현 손익입니다.

실현 손익 vs 미실현 손익 차이점

실현 손익은 자산을 매도하거나 포지션을 청산하여 실제로 확정된 수익 또는 손실을 의미합니다. 즉, 거래가 완료된 시점에 발생하며, 수익이 확정된 상태입니다.

반면, 미실현 손익은 아직 자산을 매도하지 않았거나 포지션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현재 시세 기준으로 계산된 잠정적인 수익 또는 손실입니다. 이는 보유 중인 자산의 가치가 실시간으로 변동하면서 함께 변하며, 수익이 확정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시장 가격 변화에 따라 계속 바뀝니다. 거래소에서는 일반적으로 ‘평가 손익(PnL)’ 또는 ‘수익률’ 항목으로 표시됩니다.

구분실현 손익미실현 손익
발생 시점매도/청산 완료 시보유 중에 실시간 변동
수익 확정 여부확정됨아직 미확정
거래소 표기체결 내역/실현 손익평가 손익(PnL), 수익률

요약하면, 실현 손익은 매도 또는 청산을 통해 확정된 수익, 미실현 손익은 아직 보유 중인 자산의 평가 수익으로, 발생 시점과 수익의 확정 여부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